본문 바로가기
투자/NFT

암호화폐 NFT 한계 What is HAVAH 하바는 무엇인가요?

by 세로이 2023. 7. 1.
반응형

 

암호화폐 시장

 

안녕하세요 세로이입니다

암호화폐라고 다들 들어보셨나요?

설문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93%는 암호화폐를 들어본 적 있으며, 암호화폐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전체의 63%, 투자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40%라고 합니다

즉, 10명 중 9명은 들어본 적 있으며 6명은 이해하고 4명은 투자까지 하고 있다고 보이네요

저도 주위 몇몇 분과는 정보 공유하며 암호화폐 시장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만, 수치로 보니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하고 있네요

 

 

이처럼 시장규모가 날이갈 수 록 커져가기 때문에 유입되는 인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 코빗 등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에 가입하시는 분들이 많아졌고요

암호화폐가 부흥하면 그에 관련된 시장도 따라서 성장하게 됩니다

그 근거로 NFT 시장도 커지고 있네요

이유는? NFT를 만들고 유통하고 거래하는데 암호화폐를 필요로 합니다

 

 

NFT 시장

 

NFT는 대체불가능한 토큰입니다

단 하나의 예술작품을 소유할 수도 있고, 멤버십, 교환권, 입장권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복제할 수 없는 고유의 상품이라 보면 됩니다

이러한 NFT는 이더리움 기반, 클레이튼 기반, 솔라나 기반 등

각기 다른 암호화폐 체인에서 생겨나고 거래됩니다

마치, 미국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아이폰은 달러로 결제해야 하고 한국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갤럭시는 원화로 결제해야 하는 것처럼요

 

 

여기에는 한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서로 다른 암호화폐 체인에 있는 동일한 가격(가치)을 가진 NFT끼리 교환이 불가능합니다

이더리움 체인에 있는 NFT를 클레이튼 체인에 있는 NFT로 교환이 안된다는 것이죠

근본적으로 블록체인끼리 다른 플랫폼(환경)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비트코인을 이더리움으로 바꾸려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을 판매하고 이더리움을 구매합니다

등가교환이 아니라 매수, 매도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죠


앞선 예시를 이어서 적용시킨다면

미국에서 만든 아이폰과 한국에서 만든 갤럭시의 가격(가치)이 동일할 때 서로 합의가 된다면 등가교환을 할 수 있습니다

중간에 매수, 매도 과정이 필요 없는 것이죠

 

이러한 플랫폼 간의 이동의 제약은 NFT시장 확장성에 큰 걸림돌이 됩니다

불필요한 유통과정과 한정된 시장이라는 문제점이 있기에 '하바'라는 프로젝트가 등장하게 됩니다

 

What is HAVAH 하바는 무엇인가요?

 

 

하바는 멀티플랫폼을 지원합니다

서로 다른 플랫폼으로 변경을 도와주는 것이죠

위에 설명드렸던 교환 개념과 다르게 이더리움 체인에 있는 NFT를 가격(가치)의 변동 없이 클레이튼 체인으로 NFT를 이동시켜 줍니다

플랫폼간의 이동의 제약을 해결해 주는 것이 하바 프로젝트의 핵심입니다

 

이것이 왜 중요하냐?

멋있고 이쁜 캐릭터 NFT를 구매했습니다

NFT는 고유하며 대체불가능한 토큰이기에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메타버스 게임에서 캐릭터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더리움 체인에서 발행된 멋있고 이쁜 캐릭터 NFT는 이더리움 생태계 게임에서만 적용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옆집 철수와 클레이튼 체인 메타버스 게임을 함께 하기로 했는데 내가 구매한 이더리움 NFT는 아무짝에 쓸 수가 없습니다

 

암호화폐는 하루에도 수백 개씩 생겨나고 사라집니다

내가 보유한 NFT의 암호화폐 생태계도 어떤 이슈로 시장에서 사장될지 모르는 일입니다(루나 - 테라 사건)

NFT는 해당 암호화폐 생태계에 종속적인 관계였기 때문에 불안정하였지만, 하바를 사용한다면 자유롭게 나의 자산을 사용하면서 지킬 수 있습니다

 


암호화폐, NFT 투자를 그동안 해오면서 몸소 겪었던 문제 입니다

교환과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면 그만큼 자산의 가치는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모든 분들이 이해하실 수 있게 작성한다고 깊은 내용은 다루지 못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하바의 생태계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